SQL Builder 을 사용하여 DML 문서 작성을 자동화 해본다
![](./files/attach/images/132/963/287/11466eae0df35383da7678a1e4bffae3.jpg)
DML 종류를 선택한다.
![](./files/attach/images/132/963/287/dba0bf4344c9bfd09003eed9ffb5f743.jpg)
왼쪽에 Object Palette 를 클릭하게 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이 추가된다
이것은 DML 종류에서 select 를 선택했을때의 모습니다.
![](./files/attach/images/132/963/287/74bb34100cd94050aa5bb866aa921b84.jpg)
테이블에 필드를 다른 테이블에 끌어다 놓으면 다른 테이블 선택되어진 필드와 Join 관계가 맺어진다
그리고 SQL 문에 해당하는 script가 아래 text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files/attach/images/132/963/287/dd8e5f1a4015882a895aa084816a1914.jpg)
이 관계를 해제하고 싶다면 관계지어진 라인을 클릭한다. Join 의 상세정보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아래 쪽에 Delete join 클릭하면 된다
![](./files/attach/images/132/963/287/ac1077c8b88b1c9b554cf6269f08b5c1.jpg)
위그림에서 sql 문장이 자동으로 출력될 때 테이블 명이 매번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직접작성할 때
Alias 주게 되는데 테이블마다 설정해놓으면 좀더 간결한 문장을 만들수 있다![](./files/attach/images/132/963/287/bff4a4f95924e660587daaaccb7cb42d.jpg)
Select 를 해봤으면 이제 Insert 를 선택해서 테이블을 추가해보자
그러면 text 에 Insert 구문이 나타나고 화면에 테이블 그림이 나타난다
테이블을 하나더 추가하게 되면 Mode 가 Select 로 바뀌게 되고 텍스트의 내용도 바뀐다
Delete , update 도 마찬가지이다.![](./files/attach/images/132/963/287/f830499a77d2394690669d3575cbdea0.jpg)
왼쪽 위에 Mode 창이 있는데 거기에 where, Join, Group by, Having, order by 메뉴가 있다
이것에 각각 원하는 필드값을 넣어주고 싶을 때 오른쪽 테이블에서 컬럼을 마우스로 끌어
가져가면 추가된다. 그리고 아래 script 절에 구문이 추가되게 된다![](./files/attach/images/132/963/287/191912f7bca6c8bc49c950fe4f3ad1f0.jpg)
![](./files/attach/images/132/963/287/3024b2c4ee9d2adfef46bd6db40d97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