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개발 환경 셋팅 과정>

 

 

 

① https://egovframe.go.kr/home/main.do  URL 접속 후 다운로드의 개발환경 메뉴를 클릭한다.

 

 

 

 

 

① 가장 최신 버전인 4.x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버전은 사용자별로 원하는 것을 선택)

② 개발자용 개발환경 64bit(Implementation Tool) Version 4.0.0 을 클릭한다.

③ 해당 첨부파일을 클릭한다.

 

 

 

 

 

①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한다.

②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① 압축 파일을 풀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② elipse IDE를 실행한다.

 

 

 

 

 

① 좌측 영역에 다양한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는 링크들이 나온다.

 

 

 

 

 

① 좌측영역에 위의 사진과 같이 나오지 않을 경우 Open Perspective 버튼을 클릭한다.

② eGovFrame을 선택하고 Open을 클릭한다.

 

 

 

 

 

① 다음과 같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① 기본적인 언어 설정을 위해 Preferences 버튼을 클릭한다.

② encoding이라고 입력 후 모든 항목에 대해 언어 설정을 할 것이다.

③ 해당 입력란에 UTF-8을 입력 후 Update 버튼을 클릭한다.

④ 모든 메뉴에 대한 언어 설정이 끝나면 Apply and Close 버튼을 클릭해서 적용시킨다.

 

 

 

 

① Tomcat 서버 등록을 위해 Runtime Environment 메뉴를 클릭한다.

② Add 버튼을 클릭한다. 

③ 현재 전자정부프레임워크 4.0.0 버전에서는 Tomcat을 10버전까지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버전을 선택한다.

④ Next 버튼을 클릭한다.

 

 

 

 

 

① 현재 설치되어있는 Tomcat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Download and Install 버튼을 클릭한다.

② Tomcat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③ 설치한 Tomcat이 등록 된 것을 볼 수 있다.

 

 

 

 

 

 

① Project name에 입력한 정보가 Artifact Id에 들어가게 되고 Maven Setting 부분에서는 모든 항목을 다

    입력해야 Next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Group Id는 아무 숫자를 기입해준다.

② Next 버튼을 클릭한다.

③ Generate Example을 체크하면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의 예제 소스 템플릿 파일들을 포함시킨 상태로 

    프로젝트 생성이 가능하다.

④ Finish 버튼을 클릭한다.

 

 

 

 

 

①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있다.

② 시간이 꽤 걸리지만 해당 영역에 설치내용이 사라지면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생성된다.

 

 

 

①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고 기본적으로 예제 소스 템플릿 파일들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② 하단에 등록 된 서버를 보기 위해 Show View ▶ Servers를 클릭한다.

③ 아까는 eclipse에 서버를 등록 시킨 것이고 서버에 프로젝트에 등록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해당 링크를 클릭한다.

 

 

 

 

 

① 설치한 Tomcat의 버전이 9버전이기 때문에 Tomcat v9.0 Server를 클릭한다.

② Next 버튼을 클릭한다.

③ Available 영역에서 서버에 등록 시킬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④ Add 버튼을 클릭한다.

⑤ Configured 영역에 좌측 Available 영역에서 등록 시킨 프로젝트가 옮겨졌는지 확인한다.

⑥ Finish 버튼을 클릭한다.

 

 

 

 

 

① 현재 등록 된 서버는 Stopped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하기 위해 마우스 우클릭 후 Start 버튼을 클릭한다.

② 서버가 Started 상태로 변하면서 구동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① 프로젝트 생성 시 Generate Example을 체크했고 기본적으로 생성 된 템플릿 소스에 의해 

    해당 URL 이동 시 만들어져있는 샘플 화면을 볼 수 있다.

② 샘플 화면에 대한 소스이다. (다른 예제 화면들도 소스가 어딘가에 위치해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개발 환경 셋팅 file 2025.03.25 0
151 자바 클래스와 메서드 2023.02.15 187
150 조건문과 제어문 2023.02.15 159
149 Singleton Pattern 과 DeadLock file 2023.02.15 182
148 자바 Thread dump file 2023.02.15 158
147 request header 로부터 접속 정보 확인 file 2023.02.15 204
146 자바 extends Thread, implements Runnable 차이 file 2023.02.15 189
145 자바 쓰레드 예제 및 사용 이유 알아보기 file 2023.02.15 191
144 자바 초기화는 무슨 뜻이고 왜 해야할까? file 2023.02.15 187
143 자바 extends, implements 차이점 알아보기 file 2023.02.15 186
142 자바 생성자란 무엇인가? file 2023.02.15 178
141 자바 필드, 멤버 변수, 전역 변수는 같은 말? file 2023.02.15 178
140 자바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구분하기 file 2023.02.15 143
139 자바 객체화(인스턴스화) 알아보기 file 2023.02.15 179
138 자바 this, super 차이 알아보기 file 2023.02.15 185
137 자바 오버라이드, 오버로드 차이 알아보기 file 2023.02.15 185
136 자바 Statement PreparedStatement 차이 알아보기 file 2023.02.15 165
135 자바 메소드(Method)란 무엇인가? file 2023.02.15 182
134 자바에서 문자열 비교 시 == 가 아닌 equals를 써야하는 이유 file 2023.02.15 232
133 자바 배열 복사하는 방법 file 2023.02.15 17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하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